맨위로가기

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는 그리스 출신의 이론 물리학자이다. 그는 아테네 공과대학교에서 기계·전기공학 학위를, 파리 대학교에서 이론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CERN, 하버드 대학교, CNRS 등에서 연구했으며, 고등사범학교 이론 물리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일리오풀로스는 고에너지 이론 물리학 및 기본 입자 물리학 분야에서 GIM 메커니즘 제안, 쿼크-렙톤 대칭성 연구, 초대칭성 연구 등 주요 업적을 남겼다. 그는 사쿠라이상, ICTP 디랙 메달, 유럽 물리학회 고에너지 및 입자 물리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공학자 -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의 정치인 알렉시스 치프라스는 급진좌파연합 시리자를 이끌며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그리스 총리를 두 차례 역임하며 경제 위기 극복, 유럽연합과의 관계 재정립, 외교적 성과를 이루었으나, 2023년 총선 패배 후 당수직에서 사임했다.
  • 그리스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그리스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는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을 창당하여 총리를 역임하며 사회 개혁, 복지 확대, 독립 외교를 추구했으나, 경제난과 부패 스캔들로 비판받기도 하며 그리스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그리스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는 오스만 제국령 마케도니아 출신의 그리스 정치인으로, 총리와 대통령을 역임하며 그리스의 민주주의 회복과 유럽 연합 가입에 기여했다.
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본명)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원어 이름Ιωάννης Ηλιόπουλος (엘)
다른 이름장 일리오풀로스 (프랑스어: Jean Iliopoulos)
영어 이름존 일리오풀로스 (John Iliopoulos)
출생
출생 연도1940년
출생지칼라마타, 그리스
학력 및 경력
분야입자 물리학
직장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학력대학 졸업
박사 학위 논문 제목저에너지 정리와 전류 대수 (프랑스어: Théorème de basse énergie et algèbre des courants)
박사 학위 취득 년도1968년
업적
주요 업적GIM 메커니즘과 맵시 쿼크의 예측
페예-일리오풀로스 항
수상
수상 내역사쿠라이 상 (1987년)
마테우치 메달 (2005년)
ICTP 디랙 메달 (2007년)

2. 생애

그리스 칼라마타에서 태어난 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는 아테네 공과대학교에서 1962년 기계·전기공학을 전공하여 졸업하였다. 그 뒤 파리 대학교에서 이론물리학을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66~1968년 동안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에서, 1969~1971년 동안 하버드 대학교에서 연구원으로 있었다.[1] 1971년부터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에서 연구원으로 있다.[1]

일리오풀로스는 1962년 아테네 국립 공과대학교 (NTUA)에서 기계-전기 공학 학위를 받았다.[1] 파리 대학교에서 이론 물리학을 전공하여 1963년에 D.E.A, 1965년에 Doctorat 3e Cycle, 1968년에 Doctorat d' Etat 학위를 취득했다.[1] 1966년부터 1968년까지 CERN에서, 1969년부터 1971년까지 하버드 대학교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1] 1971년에 파리로 돌아와 CNRS에서 근무하기 시작했다.[1] 1991년부터 1995년까지, 그리고 1998년부터 2002년까지 고등사범학교 이론 물리학 연구소의 소장직을 역임했다.[1]

2002년, 일리오풀로스는 아리스테이오 상의 첫 번째 수상자가 되었다.[1] 1987년 일리오풀로스와 마이아니는 사쿠라이상을 공동 수상했다.[1] 2007년에는 ICTP 디랙 메달을, 2011년에는 글래쇼, 일리오풀로스, 마이아니가 유럽 물리학회(EPS)에서 수여하는 고에너지 및 입자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

3. 주요 과학적 업적

일리오풀로스는 고에너지 이론 물리학 및 기본 입자 물리학 전문가로서, 표준 모형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셸던 글래쇼, 루치아노 마이아니와 함께 GIM 메커니즘을 제안하여 표준 모형의 핵심 요소를 확립했다.[7]
  • 클로드 부샤, 필리프 메이어와 함께 쿼크와 렙톤 사이의 대칭성을 입증했다.[8]
  • 페르미온보손을 연결하는 초대칭성의 선구자로서, 초대칭성의 특성과 자발적 파괴 메커니즘을 연구했다.[9]
  • 중력의 양자 역학과 비가환 기하 공간에서 공식화된 불변 게이지 이론의 수학적 속성 등을 연구했다.

3. 1. GIM 메커니즘

일리오풀로스는 고에너지 이론 물리학 및 기본 입자 물리학 전문가이다. 1970년, 셸던 글래쇼 및 루치아노 마이아니와 공동으로, "GIM 메커니즘"(세 저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을 도입했는데, 이는 "표준 모형"으로 알려진 기본 상호작용 이론의 필수 요소이다.[7] 이 메커니즘은 새로운 기본 입자인 "매력" 쿼크의 존재를 가정하며, 이는 경험을 통해 확인된 예측이다. 1972년, 클로드 부샤 및 필리프 메이어와 공동으로,[8] 그는 표준 모형의 수학적 일관성이 양성자중성자와 같은 하드론을 형성하는 쿼크와 전자, 뮤온, 중성미자와 같은 렙톤 간의 대칭성을 필요로 함을 입증했다. 이 대칭성 역시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3. 2. 쿼크-렙톤 대칭성

일리오풀로스는 고에너지 이론 물리학 및 기본 입자 물리학 전문가이다. 1972년 클로드 부샤, 필리프 메이어와 공동으로 표준 모형의 수학적 일관성을 연구하여, 양성자중성자 같은 하드론을 형성하는 쿼크전자, 뮤온, 중성미자 같은 렙톤 사이에 대칭성이 필요함을 입증했다.[8] 이 대칭성은 이후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3. 3. 초대칭성 연구

일리오풀로스는 페르미온보손을 연결하는 가설적 대칭성인 초대칭성의 선구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초대칭성이 놀라운 수렴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P. 파예와 공동으로 자발적인 파괴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제안했다.[9] 그는 또한 중력의 양자 역학과 비가환 기하 공간에서 공식화된 불변 게이지 이론의 수학적 속성 등 몇 가지 측면을 연구했다.

3. 4. 기타 연구

일리오풀로스는 고에너지 이론 물리학 및 기본 입자 물리학 전문가이다. 1970년, 셸던 글래쇼 및 루치아노 마이아니와 공동으로, 소위 "GIM 메커니즘"(세 저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을 도입했는데, 이는 "표준 모형"으로 알려진 기본 상호작용 이론의 필수 요소이다.[7] 이 메커니즘은 새로운 기본 입자인 "매력" 쿼크의 존재를 가정하며, 이는 경험을 통해 확인된 예측이다. 1972년, 클로드 부샤 및 필리프 메이어와 공동으로,[8] 그는 표준 모형의 수학적 일관성이 쿼크(예: 양성자중성자와 같은 하드론을 형성)와 렙톤(예: 전자, 뮤온, 중성미자)과 같은 물질의 기본 구성 요소 간의 대칭성을 필요로 함을 입증했다. 이 대칭성 역시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일리오풀로스는 페르미온보손을 연결하는 가설적 대칭성인 초대칭성의 선구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초대칭성이 놀라운 수렴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P. 파예와 공동으로,[9] 자발적인 파괴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그는 또한 중력의 양자 역학과 비가환 기하 공간에서 공식화된 불변 게이지 이론의 수학적 속성 등 몇 가지 측면을 연구했다.

4. 수상 경력

연도상 이름수여 기관비고
1978년폴 랑제뱅 상프랑스 물리학회
1984년장 리카르 상프랑스 물리학회
1987년사쿠라이 상미국 물리학회
2002년보도사키 상
2005년마테우치 메달국립 40인 과학 아카데미
2007년디랙 메달압두스 살람 국제 이론물리센터이탈리아 트리에스테
2011년유럽 물리학회 고에너지 물리학상
2013년세 명의 물리학자 상파리 고등사범학교[12]
2023년안토니오 펠트리넬리 상린체이 아카데미이탈리아[14]



연도수여 기관비고
1980년아테네 아카데미회원[10]
1990년/2002년프랑스 과학 아카데미회원/정회원[11]
1996년엑스-마르세유 대학교명예 박사
1999년크레테 대학교명예 박사
2002년이오아니나 대학교명예 박사
2002년아테네 국립 카포디스트리안 대학교명예 박사
2017년아테네 국립 공과대학교명예 박사[13]


5. 주요 출판물

J. 일리오풀로스
L. 마이아니렙톤-하드론 대칭성을 갖는 약한 상호작용Physical Review D1972년C. 부시아
J. 일리오풀로스
Ph. 메이어와인버그 모형의 이상 현상 없는 버전Physics Letters B1974년J. 일리오풀로스
B. 주미노깨진 초게이지 대칭성과 재규격화Nuclear Physics B[https://cds.cern.ch/record/415096]1974년P. 파예
J. 일리오풀로스자발적으로 깨진 초게이지 대칭성과 골드스톤 스피너Physics Letters B1986년I. 안토니아디스
J. 일리오풀로스
T. N. 토마라스드 시터 공간의 양자 불안정성Physical Review Letters[https://www.slac.stanford.edu/cgi-bin/getdoc/slac-pub-3812.pdf]1987년E.G. 플로라토스
J. 일리오풀로스
T.N. 토마라스드 시터 공간에서의 트리 레벨 산란 진폭 발산Physics Letters B1989년E.G. 플로라토스
J. 일리오풀로스
G. 틱토풀로스SU(∞) 고전 양-밀스 이론에 대한 참고 사항Physics Letters B[https://cds.cern.ch/record/192677]2006년E.G. 플로라토스
J. 일리오풀로스게이지 이론과 비가환 기하학Physics Letters B2015년J. 일리오풀로스질량의 기원EDP Sciences2017년J. 일리오풀로스질량의 기원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2017년L. 보르유
J. 일리오풀로스
R. 세네오르고전 장에서 양자장까지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2021년테오도르 N. 토마라스
존 일리오풀로스기본 입자 물리학 - 표준 이론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참조

[1] 서적 Facts And Mysteries In Elementary Particle Physics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18-03-21
[2] 논문 Weak Interactions with Lepton-Hadron Symmetry
[3] 간행물 "An anomaly-free version of Weinberg's model."
[4] 서적 The Rise of the Standard Model: A History of Particle Physics from 1964 to 197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11-13
[5] 웹사이트 Prize Recipient http://www.aps.org/p[...] 2024-03-27
[6] 웹사이트 High Energy Particle Physics Board https://web.archive.[...] 2024-03-27
[7] 논문 Weak Interactions with Lepton-Hadron Symmetry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70-10-01
[8] 논문 An anomaly-free version of Weinberg's model Elsevier BV
[9] 논문 Spontaneously broken supergauge symmetries and goldstone spinors Elsevier BV
[10] 웹사이트 Members of the First Section http://www.academyof[...] Academy of Athens 2015-11-23
[11] French Academy of Sciences French Academy of Sciences. https://www.academie[...]
[12] École normale supérieure (Paris, France). École normale supérieure (Paris, France). https://iqclsw2018.l[...]
[13] 웹사이트 Αναγόρευση του Ακαδημαϊκού Ιωάννη Ηλιόπουλου, ως Επίτιμου Διδάκτορα του Ε.Μ.Π. (Σ.Ε.Μ.Φ.Ε.) (πρόσκληση) - ΣΕΜΦΕ http://semfe.ntua.gr[...] 2017-04-24
[14] 웹사이트 I premi Feltrinelli edizione 2023 {{!}} Accademia Nazionale dei Lincei https://www.lincei.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